
부산의 중심, 동래. 현대의 번화한 터전이지만, 그 뿌리를 더듬으면 깊은 고대의 흔적들과 역사의 큰 논쟁들이 맞닿아 있습니다. 특히 ‘가야’와 ‘임나가라(임나일본부설)’를 둘러싼 논란, 그리고 이 속에서 부산 동래가 지닌 의미는 대한민국 고대사의 퍼즐을 푸는 실마리와도 같습니다. 1. 가야—분권과 다양성, 철의 왕국가야는 한반도 남부, 주로 오늘날의 경상남·북도와 부산 일대에서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6세기까지 존속한 여러 소국 연맹체입니다. 중앙 집권적이지 않고, 김해(金官)가야, 고령(大伽倻) 등 각 소국이 독립성과 자율성을 띠며 느슨한 동맹을 이루었죠. 신라, 백제, 고구려라는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철의 왕국’이라 불리는 강력한 철기 생산과 해상 교역으로 번영을 이뤘습니다.동래 역시 예외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