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는 신분이 아닌 실력에 기반한 인재 등용을 지향하면서, 관료 선발과 교육 체계 역시 큰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였다. 이 가운데 사학 12도는 과거시험 중심의 사회에서 사교육 열풍을 주도하며 고려의 교육과 사회 문화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사학 12도의 기원과 설립 배경사학 12도의 출발점은 고려 문종 대(11세기)에 벼슬에서 물러난 문신 **최충(984~1068)**이 자신의 집에 설립한 **문헌공도(文憲公徒)**였다. 이 학교는 ‘9재학당’으로도 불리며 국자감과 동일한 유학 과목과 제술 교육을 진행했다. 최충의 사학이 큰 성공을 거두자, 권위 있는 유학자들이 각기 문도를 모집하게 되었고 개경에는 총 12개의 사학이 설립되어 사학 12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들 학교의 명칭은 대부분 설립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