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역대 왕에 대한 연대표를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고려는 918년에 태조 왕건이 건국하여 1392년 공양왕까지 34대에 걸쳐 왕씨가 집권하였습니다. 다음은 주요 왕과 재위 기간을 정리한 연대표입니다.
* 고려 34대 왕 순서, 핵심 요약표
순번 | 왕명 | 재위 기간 | 대표 업적 및 치세 요약 |
1 | 태조 (왕건) | 918~943 |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의 기반 마련, 호족 세력 통합, 왕권 강화 시작 |
2 | 혜종 (왕무) | 943~945 | 태조의 맏아들 |
3 | 정종 (왕요) | 945~949 | 태조의 둘째 아들 |
4 | 광종 (왕소) | 949~975 | 노비안검법 실시로 반봉건적 신분제 억제, 과거제 도입으로 인재 등용 체계 정비 |
5 | 경종 (왕주) | 975~981 | 전시과 제도 도입 |
6 | 성종 (왕치) | 981~997 | 최승로의 건의 수용(시무 28조), 유교 정치 이념 강화, 태학 설치로 교육 진흥 |
7 | 목종 (왕송) | 997~1009 | 경종의 맏아들 |
8 | 현종 (왕순) | 1009~1031 | 거란과의 전쟁(강감찬의 귀주대첩), 국방력 강화, 문치주의 정책 추진 |
9 | 덕종 (왕흠) | 1031~1034 | 천리장성 시축 |
10 | 정종 (왕형) | 1034~1046 | 천리장성 완성 |
11 | 문종 (왕휘) | 1046~1083 | 문치주의 정착, 유교적 정치 질서 강화, 문화와 학문 진흥 |
12 | 순종 (왕훈) | 1083 | 문종의 장남 |
13 | 선종 (왕운) | 1083~1094 | 문종의 아들 |
14 | 헌종 (왕욱) | 1094~1095 | 선종의 맏아들 |
15 | 숙종 (왕옹) | 1095~1105 | 해동통보 주조 |
16 | 예종 (왕우) | 1105~1122 | 숙종의 아들 |
17 | 인종 (왕구) | 1122~1146 | 시무 28조의 재조명, 관료 체제 강화,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과 개혁 시도, 이자겸의 난 일어나 혼란 |
18 | 의종 (왕현) | 1146~1170 | 무신정변 전 환난기, 권신과 무신 세력 갈등, 결국 무신정변 발발 |
19 | 명종 (왕호) | 1170~1197 |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이 실권 장악하는 시기, 왕권 약화와 무신 정권 지속 |
20 | 신종 (왕탁) | 1197~1204 | 몽골 침입 전의 혼란기 |
21 | 희종 (왕영) | 1204~1211 | 몽골 침입 전 준비 |
22 | 강종 (왕오) | 1211~1213 | 몽골과의 외교 강화 |
23 | 고종 (왕철) | 1213~1259 | 몽골 침입과 항쟁, 강화 천도로 임시 수도 이전, 몽골과의 항쟁과 타협 사이에서 고려 존속 노력 |
24 | 원종 (왕종) | 1259~1274 | 개경 환도 |
25 | 충렬왕 (왕거) | 1274~1308 | 원나라와의 화친 강화, 원나라 영향 아래 친원정책 유지, 일본 원정(쓰시마 정벌) 추진 |
26 | 충선왕 (왕장) | 1308~1313 | 친원 정책 |
27 | 충숙왕 (왕만) | 1313~1330, 1332~1339 | 원나라와의 복잡한 왕위 교체 |
28 | 충혜왕 (왕정) | 1330~1332, 1339~1344 | 왕위 교체 반복 |
29 | 충목왕 (왕흔) | 1344~1348 | 왕위 안정화 |
30 | 충정왕 (왕저) | 1349~1351 | 왜구 침입 대응 |
31 | 공민왕 (왕전) | 1351~1374 | 원나라 세력 배격, 반원 개혁 정책, 영토 수복과 내치 개혁, 신진 사대부 등용, 권문세족 견제 |
32 | 우왕 (왕우) | 1374~1388 | 권문세족 세력과 신진사대부 갈등 심화, 홍건적 침입 대비, 내부 권력 다툼 심화 |
33 | 창왕 (왕창) | 1388~1389 | 개혁 시도 |
34 | 공양왕 (왕요) | 1389~1392 | 고려 최후의 왕, 조선 건국 과정에서 폐위되고 왕조 교체됨 |
고려시대 왕 순서와 시대별 변화 흐름을 핵심 포인트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려 왕조 시대별 흐름
1. 건국과 중앙집권(태조~광종)
태조 왕건(918~943): 후삼국 통일, '훈요십조'로 미래 왕들에게 정치 지침 제시, 불교 숭상.
- 통치 성향: 포용과 통합, 융합
- 주요 정책: 후삼국 통일, 훈요십조(유언서) 발표, 지방 호족과의 혼인 전략, 중심 왕권 강화, 불교 숭상 및 민생 안정, 호족 세력 인정과 협력.
- 평가: 왕실 중심 연합체 구축, 다양한 지역과 세력의 유연한 통합.
광종(949~975): 노비안검법 시행(신분제 개혁), 과거제 도입(인재 등용의 평등화), 왕권 중앙집권 확립.
- 통치 성향: 강력한 왕권 지향, 개혁적
- 주요 정책: 노비안검법(신분제 개혁), 과거제 시행(인재 등용의 실질화), 황제 칭호·독자 연호 사용, 귀족 견제 및 중앙집권 체제 완비.
- 평가: 강력한 개혁군주, 이후 집권 체제에 큰 영향.
2. 귀족 체제와 혼란(경종~의종)
경종~문종: 전시과 실시(토지제도 확립), 문벌귀족 사회 성립, 문치주의 강화.
성종 (981~997)
- 통치 성향: 유교 이념 중시, 문치주의 강화
- 주요 정책: 중앙 관제·지방제도 전면 개혁, 유교 정치 이념 도입, 교육제도 정비(태학 설치), 문물·관료체제 완성, 최승로의 시무28조 수용.
- 평가: 행정적·제도적 기반 확립, 유교적 통치로의 본격적 전환.
문종 (1046~1083)
- 통치 성향: 문치주의 완성, 안정·번영 강조
- 주요 정책: 국가 행정·관료 조직 완비, 전국 교육 제도 정비, 경전·역사서 편찬, 불교와 학문 진흥.
- 평가: 정치·경제·문화 전성기 실현, 고려 황금기.
인종(1122~1146):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정치체제 변동 시도.
의종(1146~1170): 문벌귀족 체제 피로감, 무신정권 성립(1170년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정변).
3. 무신정권과 몽골 침입(명종~원종)
명종~고종(1170~1259): 무신정권(최씨 일가 등) 집권, 왕권 약화, 강화도로 임시 수도 이전, 몽골의 고려 침공 및 항전(1231~1259).
팔만대장경 조판 등 불교문화 발전, 몽골과의 강화 및 원나라 간섭 시작.
4. 원나라 간섭과 개혁(충렬왕~공민왕)
원종~충렬왕(1259~1308): 몽골과의 화친, 일본 원정 동참, 친원 정책 강화, 왕권 부침.
공민왕(1351~1374): 원나라 세력 약화, 반원 개혁(신진사대부 등용, 권문세족 견제), 영토 수복(쌍성총관부 반환), 홍건적 침입 대응.
- 통치 성향: 개혁, 반원(元) 정책, 신진사대부 등용
- 주요 정책: 원나라 간섭 타파, 영토 수복(쌍성총관부 등), 권문세족 견제, 신진세력 육성, 내정·군제 개혁, 불교의 폐단 시정.
- 평가: 쇠퇴기 고려의 재생 시도, 조선 건국의 발판 마련.
5. 고려 말기, 왕조 교체기(우왕~공양왕)
우왕~공양왕(1374~1392):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갈등 심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1388), 과전법 실시, 조선 개국 준비 및 왕조 멸망.
2025.09.07 - [한국, 모든 것의 역사] - 34명의 고려 왕자·공주, 정략혼의 결과물들 : 고려 왕실 가계도 완전 정리
34명의 고려 왕자·공주, 정략혼의 결과물들 : 고려 왕실 가계도 완전 정리
고려 태조 왕건은 29명의 부인 사이에서 총 34명의 자녀(왕자 25명·공주 9명)를 두었다. 이들 중 왕위에 오른 주요 자녀와 대표 자녀는 다음과 같다. 주요 왕위 계승자혜종(恵宗, 왕무/王武): 제2대
nauiharu.com
2025.07.25 - [한국, 모든 것의 역사] - 조선왕조 27명의 왕, 한눈에 보는 연혁과 시대별 흐름 요약
조선왕조 27명의 왕, 한눈에 보는 연혁과 시대별 흐름 요약
* 조선 27대 왕 순서, 핵심 요약표순번왕명재위 기간직계 계승 (관계) 주요 사건 / 일화 1태조1392~1398정종(아들), 태종(아들)조선 건국, 위화도 회군, 성리학 국가 기반 마련2정종1398~1400태종(형제)1
nauiharu.com
목차
'한국, 모든 것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씨 무신정권과 무신정변 : 고려 역사에서의 군사 쿠데타와 60년 권력 세습 (0) | 2025.09.10 |
---|---|
광종의 과거제 실시와 왕권 강화, 그리고 고려 변화의 시작 (0) | 2025.09.10 |
34명의 고려 왕자·공주, 정략혼의 결과물들 : 고려 왕실 가계도 완전 정리 (2) | 2025.09.07 |
고려 태조 왕건의 29번 결혼, 후삼국 통일을 위한 정략혼인의 전략 (1) | 2025.09.07 |
고려 건국 과정과 역사적 의미 : 왕건이 세운 새로운 시대 (1) | 202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