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려광종승과제도 1

고려시대 불교 국가 체제와 승려들의 사회적 역할 : 왕실 불사업의 찬란한 흔적

목차 불교 국가로서의 고려의 정체성고려는 한국사상 가장 전형적인 불교 국가였습니다. 태조 왕건은 훈요 10조 제1조에서 "우리나라 대업은 반드시 여러 부처님의 호위의 힘을 바탕으로 하는 까닭에..."라고 명문화함으로써 고려를 불교국가로 건설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이러한 호국불교 사상은 고려 건국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으며,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불법의 가호에 의존하려는 태조의 신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태조는 개경에 10대 사찰을 비롯하여 많은 절을 창건했으며, 연등회와 팔관회를 국가 행사로 법제화했습니다. 특히 연등회는 2월 14일과 15일 양일간 진행되었으며, 관리들에게 사흘간 휴가를 주고 연등도감을 설치하여 행사를 총지휘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팔관회는 11월 15일에 개최되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