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9/21 2

고려시대 국경 방어의 핵심, '광군'과 변방 방어 체계 완전 분석

거란 침입에 맞선 국방 혁신, 광군의 탄생고려시대 '광군(光軍)'은 947년(정종 2년) 거란의 위협이 본격화되면서 조직된 고려 최초의 대규모 지방 군사 조직입니다. 후진에 유학하던 중 거란의 포로가 되었던 최광윤(崔光胤)이 거란의 고려 침략 계획을 사전에 탐지하고 이를 고려 조정에 보고한 것이 광군 설치의 직접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고 세력을 확장하면서 고려에게 직접적인 위협이 되는 상황에서, 고려는 기존의 소규모 군사력으로는 거란의 대규모 침입을 막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약 3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농민 예비군인 광군을 조직하게 되었습니다. 광군의 조직 구조와 운영 체계광군의 성격과 특징광군은 상비군이라기보다는 농민 예비군의 성격을 가진 조직이었습니다. 평상시에는..

고려시대 여진과의 관계와 동북 9성 : 북진정책의 야심과 한계

고려와 여진의 관계는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초반까지 한반도 북방 역사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특히 윤관의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설치, 그리고 그 반환 과정은 고려의 북진정책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변동의 핵심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고려와 여진족의 초기 관계화내정책과 기미책략고려 건국 초기 여진족은 만주와 한반도 북방 일대에 흩어져 부족 단위로 생활하며, 발해 멸망 이후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자립적 생활을 이어갔다. 고려는 이들에 대해 **화내정책(化內政策)**을 실시하여 여진족의 조공과 내조를 허락하고, 추장들에게 작위와 관직을 주는 회유정책을 펼쳤다. 여진족은 고려에 말, 활, 모피 등을 바치는 대신 의류나 식량 등 생활필수품을 들여가며 상하관계를 형성했다. 특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