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일제강점기 역사의 진실 : 창씨개명의 오해와 실제, 그리고 민중의 저항

이모는 2025. 7. 26. 14:49

 

 

 

창씨개명이란 무엇이었나?

 

일제강점기, 창씨개명은 1940년 2월 11일부터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이름(‘씨’와 ‘명’)을 갖도록 강요한 민족동화 정책의 핵심이었습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 개정(1939.11.10)으로 조선 전통의 성명제(姓·名 체계)를 폐지하고, 일본 식민지 내의 모든 조선인이 일본식 씨(氏)를 집안 단위로 등록하고, 이름도 그에 맞게 바꾸도록 제도화했습니다. 표면상 ‘희망자에 한한 신청’이라 했으나, 실상은 전방위적 강압과 불이익, 경찰력 동원을 수반한 ‘강제적 정책’이었습니다.
 
 
 

창씨개명에 대한 대표적 오해

1. “자발적”이었다는 주장

자주 등장하는 오해 중 하나는 “많은 조선인들이 스스로 일본식 이름을 쓰고 싶어 했고, 창씨개명은 자발적 선택이었다”는 식의 주장입니다. 실제로 일본 정부도 전후 오랫동안 “법적으로는 강제가 아니었다”고 변명해왔습니다.
하지만 구체적 과정과 당시 수치를 보면 이 주장은 사실이 아님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정책 시행 3개월 후인 1940년 5월까지 창씨신고 가구수는 7.6%에 불과했고, 이후 조선총독부는 행정·경찰력을 투입해 관공서 민원, 학교 진학, 취업, 식량 배급 등 일상에서의 불이익과 협박으로 신고율을 80% 이상까지 인위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거부한 이에게는 ‘불령선인’, ‘비국민’ 등으로 낙인찍고, 본인 모르게 관청이 임의로 창씨 등록을 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습니다.
 

2. 창씨개명이 “친일의 상징”이라는 단정

또 다른 오해는 창씨개명 = 친일행위라는 이분법적 시각입니다. 실제로 대다수 조선인은 “생존을 위한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창씨개명을 수용해야 했고, 친일의 상징처럼 무조건 단정하는 건 당시의 강압적 분위기와 개인의 선택 여지를 간과한 해석입니다. 반면, 강제에 저항하며 끝내 창씨를 거부한 가문·유림·종교인도 있었습니다.
 

3. 모든 조선 전통 성·본관이 완전히 사라졌다?

창씨개명 이후에도 호적상에 전통의 ‘성’과 ‘본관’이 남아 있었고, 실제 신고명도 본래 성씨나 본관을 활용(변형·음차 등)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일본식 이름을 의도적으로 피하고, 한국적 의미의 대체표현이나 풍자성 명칭을 사용하는 소극적 저항도 상당수였습니다.
 
 
 

창씨개명의 도입 배경과 일본의 정책 목적

‘내선일체’와 황민화의 집행

창씨개명은 “조선과 일본의 일체화(內鮮一體)”, “황민화(皇民化)”라는 미명 아래 추진된 열등 민족 동화 정책의 가장 직접적 상징이었습니다. 일제는 조선의 부계혈통 기반 사회와 혈연·문중 중심의 공동체 의식을 해체하려 했고, 일본식 ‘이에[家]’ 제도로 가족 체계를 재편하며 천황 숭배의 국민 만들기를 꾀했습니다.

‘법률적 강제’와 실질적 탄압

1939년 조선민사령 개정 후, 조선 내 모든 호주(戶主)가 6개월 내에 일본식 씨(氏)를 정해 신고토록 명령했습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집 호주 성이 자동으로 씨가 됐고, 이름(명)은 일본식으로 바꿀 경우 별도 신청을 하도록 했지만 실질적으로 새 씨명과 조화를 이루게 유도·강요됐습니다. 신고하지 않은 경우 각종 생활상의 불이익이 뒤따랐고, 관공서 상담소, 경찰, 교사, 지역유지와 친일단체 등이 신고 독촉과 압박에 총동원되었습니다.

민족 정체성 파괴

창씨개명은 조선인의 전통적 혈연집단의 해체와 민족 정체성 말살이 주 목적이었습니다. 조상 이름과 가계(문중)를 중시하던 한국 전통은 깡그리 무너졌고, 가족 모두가 한씨(氏)를 써야 하는 일본적 제도를 강제로 이식함으로써 수백 년간 이어온 사회적 기반이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되었습니다.
 
 
 

창씨개명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과 민중 정신

극단적 거부와 자결

창씨개명을 ‘치욕’으로 받아들인 일부는 가족·명문가·유림에서 목숨을 건 저항을 하기도 했습니다. 자결, 항의서 제출, 끝까지 신고 거부 등 다양한 방식의 결연한 반대가 문중과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풍자와 조롱의 언어 저항

창씨 개명을 하면서도, 일부 조선인들은 당국을 조롱하거나 일제의 본질을 비꼬는 이름들을 선택해 저항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 ‘덴노 헤이카’(천황폐하를 빗대어 전농병하로 창씨),
  • ‘견자웅손’(개자식 된 단군의 자손),
  • ‘견분식위’(개똥이나 먹으라),
  • 총독보다 한자 위인 이름 등 말장난 창씨,
  • 명문 유지와 종교계의 집단적 불복종 등.

소극적 창씨와 본래 이름 고수

일부는 일본식 씨 대신 본관, 성씨 한자를 변환한 방식으로 창씨 신청, 이름은 실생활에서 계속 조선식으로 사용하거나 문패·명부에 병기하는 저항도 많았습니다.
 
 
 

창씨개명이 남긴 민족 정체성의 상처와 극복

창씨개명은 단순한 이름 변경이 아니라 조선인 전체의 심리, 문화, 민족적 자존에 상흔을 남긴 집단적 트라우마였습니다. 해방 이후 조선인은 신속하게 전통 이름으로 복귀하며, 비록 일제는 제도적으로 전통을 파괴하고자 했으나 조선인의 “가족과 혈맥, 정체성”에 대한 긍지와 공동체 정신을 완전히 뿌리뽑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이들이 저항과 분노, 때론 체념을 넘나들었고, 광복 뒤 이름을 되찾는 순간 바로 정체성 복원의 상징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왜곡된 시각과 올바른 역사 인식

창씨개명은 일제 식민 지배정책의 상징이자, 조선인의 정체성 파괴를 노린 폭력이었습니다. “자발적·선별적”이었다거나, 단순한 친일의 증표라는 해석은 창씨개명이 일상의 생존과 가족, 미래에 대한 실질적 불이익과 압박, 민족적 트라우마의 뿌리를 망각한 결과입니다. 우리 모두는 창씨개명을 강제와 저항, 민족적 아픔의 역사적 상처로 정확히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선조들이 지키고자 했던 정체성과 의지를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