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 불교는 국가 통합과 문화 발전의 핵심 축이었으나, 시대가 거듭됨에 따라 점차 변질되어 말기에 이르러서는 부패와 세속화로 인한 사회적 비판과 왕권 약화의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초기, 중기, 말기 고려 불교의 본질과 특징, 대표 인물들의 개혁 시도, 그리고 불교 타락이 사회와 왕권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고려 초기 불교 : 국가 통합과 문화의 기틀태조 왕건과 불교의 국가 통합 역할고려 건국자 태조 왕건은 불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아 왕권 강화와 국가 통합에 적극 활용했습니다. 〈훈요 10조〉에서 불교의 가호를 국가 안정의 근간으로 삼았으며, 개경에 대형 사찰을 세우고 팔관회, 연등회 같은 대규모 불교 행사를 왕실 주도로 개최해 민심을 수습하고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