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도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청소년 범죄는 존재했습니다. 조선은 유교적 가치를 중시했던 사회였으며, 미성숙한 아동과 청소년을 단순히 처벌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교화와 교정을 통해 변화 가능성이 있는 존재로 인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범죄 유형과 상황에 따라서는 엄격한 처벌이 이루어지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 청소년 범죄의 유형과 특징연령과 신분: 보통 범죄의 주체가 되는 청소년은 10세~15세 사이였고, 신분적으로는 양인(평민)이나 노비 남아가 주를 이뤘습니다. 특히 7세 이하의 아동은 법적으로 책임이 거의 없거나 제한적으로만 인정받았습니다.주요 범죄 유형: 절도나 강도 범죄가 대표적이었으며, 돌이킬 수 없는 큰 범죄보다는 생활형 범죄가 많았습니다. 그에 따라 처벌의 수위 역시 범죄의 종류, 피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