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모든 것의 역사

고려가요(高麗歌謠)의 모든 것 : 한국 중세 문학의 보석

이모는오늘도 2025. 9. 18. 14:06

고려가요란 무엇인가?

고려가요는 고려시대 평민층에서 창작되고 향유되던 민요적 성격의 서정시가로, 우리 문학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장르입니다. '고려속요', '여요', '장가' 등으로도 불리는 고려가요는 당시 문자를 가지지 못한 평민들이 자신들의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낸 구전 문학입니다.

 

고려시대 문단을 주도했던 한문학과 대조적으로, 고려가요는 평민들의 일상적 삶과 진솔한 감정을 순우리말로 담아낸 서민문학의 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려가요(高麗歌謠)의 모든 것 : 한국 중세 문학의 보석 / 영화 '쌍화점' 포스터 : 이미지 출처 네이버

 

고려가요의 역사적 배경과 기록

고려가요는 오랫동안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던 구전문학이었으나, 훈민정음 창제 이후인 조선 성종 대에 이르러 문자로 기록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전해지는 작품들은 『악학궤범』(4편), 『악장가사』(8편), 『시용향악보』(2편) 등에 채록되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는 궁중 음악의 가사로도 편입되었습니다.

 

고려가요가 문헌에 기록되는 과정에서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작품들을 '남녀상열지사' 또는 '음사'라고 칭하며 폄하했고, 이로 인해 많은 작품이 개작되거나 삭제되어 현재는 총 14편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려가요의 형식적 특징

음수율과 운율

고려가요는 전통적으로 3음보(三音步)를 기본으로 하는 운율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속요가 3음보 체계를 따르며, 연(聯)마다 3음보씩 끊어 자연스럽고 경쾌한 리듬을 만들어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형태로 「청산별곡」의 운율은 3·3·2 형태(3음보+3음보+2음보)로 이루어져 있고, 「가시리」는 3·3·3 형태(3음보×3연), 「서경별곡」 역시 3음보 단위로 분절됩니다. 이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 언어 감각과 성정에 부합하는 자연스러운 리듬입니다.

 

반면 몇몇 작품에서 4음보(四音步) 운율을 보이기도 하나, 이는 전체적인 예외에 불과하며 고려가요의 운율적 정체성은 3음보에 있다.

 

분절체와 후렴구

고려가요는 분절체(분연체) 형식으로 구성되어 여러 연이 이어지는 구조를 보입니다. 각 연 사이에는 '여음'이나 '후렴구'가 삽입되어 흥을 돋우고 작품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랑성 얄라리얄라' 같은 후렴구가 대표적입니다. 이 후렴구는 짤막한 구절이나 의성·의태어로 이루어지며, 듣는 이의 호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고려가요의 주제와 내용

사랑과 이별의 노래

고려가요의 가장 중심적인 주제는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입니다. 대표작 「가시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는 애절한 마음을 간결하면서도 진솔한 언어로 표현한 이별의 정한을 다룬 걸작입니다. 「서경별곡」 역시 이별을 거부하고 임과 함께하려는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사랑의 정서를 잘 보여줍니다.

 

현실 도피와 염세적 정서

「청산별곡」은 당시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고려인들의 현실 도피적 태도와 삶의 고뇌를 매우 진솔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라는 구절에서 보듯이, 현실을 떠나 자연 속에서 살고자 하는 의지를 노래했습니다.

 

다양한 소재의 서정시

이외에도 어머니의 사랑을 예찬한 「사모곡」, 노동의 즐거움을 담은 「상저가」, 임금에 대한 충정을 노래한 「정과정곡」 등 다양한 주제의 작품들이 전해집니다. 「동동」은 월령체 형식으로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여인의 그리움을 형상화했습니다.

 

고려가요의 문학사적 의의

평민 문학의 진수

고려가요는 당시 지배층의 한문학과 달리 평민들의 생활과 감정을 진솔하게 반영한 진정한 민중 문학입니다. 허식이 없고 꾸밈없는 표현으로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담아낸 점에서 높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언어적 특징과 순우리말의 보고

고려가요는 순우리말을 주로 사용하여 당시 우리 민족의 언어 감각을 잘 보여주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한자어의 혼용이 적고 구어체적 어법이 두드러져, 15세기 중세 국어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언어학적 자료이기도 합니다.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

고려가요는 조선시대 시조와 가사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바탕이 되었습니다. 특히 3음보의 운율과 서정적 표현 기법은 후대 우리 시가 문학의 전통으로 계승되었습니다.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

고려가요는 현대에도 지속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977년 MBC 대학가요제에서 이명우가 「가시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부른 것을 시작으로, 길옥윤 작곡의 「감수광」이 혜은이를 통해 대중적 히트를 기록하며 고려가요의 현대적 계승을 보여주었습니다.

 

현전하는 고려가요 작품 목록

사랑과 이별 주제 : 가시리, 서경별곡, 만전춘별사, 쌍화점, 이상곡, 정석가
자연과 현실 도피 : 청산별곡, 유구곡
가족애와 충정 : 사모곡, 정과정곡, 처용가
노동과 생활 : 상저가, 동동
기타 : 도이장가

 

고려가요 연구의 현재적 관점

최근 학계에서는 고려가요를 단순히 민요가 아닌 고려 왕조의 궁중 음악, 즉 악장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현전하는 작품들이 대부분 궁중 속악가사집에 실린 곡들이며, 실제로 고려 왕실에서 연주되었던 노래들이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고려가요는 우리 문학사에서 향가와 시조를 잇는 중요한 고리 역할을 했으며, 평민들의 진솔한 감정과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비록 현재 전해지는 작품 수는 적지만, 그 문학적 가치와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려 가요(高麗歌謠) 사전적 의미

1. 고려 시대의 시가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고려 시대의 시가 가운데 민요에 기원을 두면서 궁중의 연향에 사용할 목적으로 윤색하고 개작한 시가. 구전되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따위의 악서에 정착되었다.

 

 

 

2025.08.07 - [한국, 모든 것의 역사] - 영롱한 비색의 매혹, 고려 청자와 한국 도자 문화의 모든 것

 

영롱한 비색의 매혹, 고려 청자와 한국 도자 문화의 모든 것

고려 청자의 미(美)를 찾아서한국 도자 문화의 백미라 불리는 고려 청자는 비색(翡色)이라는 독특한 푸른빛을 띠며 세계 미술사에 한 획을 그었다. 10세기 후반부터 14세기까지 고려 왕조를 풍미

nauiharu.com

 

2025.08.03 - [한국, 모든 것의 역사] -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적 의미 : 세종이 세상을 바꾼 이유

 

훈민정음 창제의 정치적 의미 : 세종이 세상을 바꾼 이유

새벽빛이 채 가시기도 전, 조선 땅에는 한 가지 위대한 결심이 맺어졌습니다. “내 백성이 무지로 억울하게 죽거나 삶의 기회를 빼앗기지 않도록,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쓰는 글자를 만들라.” 이

nauiharu.com

 

 

 

목차

     

     

     

     

    반응형